넷플릭스 계정 공유 방법, 무슨 말인지 이해 안 가면 들어오세요.

넷플릭스 계정 공유 방법 뭔가 복잡한 거 같고 이해도 잘 안 가시죠? 넷플릭스가 계정 공유 방법을 변경하면서 기존 사용자는 난감해졌습니다. 바꾸려고 보니 무슨 말인지 정확히는 모르겠고. 그래서 제가 쉽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넷플릭스 계정 공유 방법, 무슨 말인지 이해 안 가면 들어오세요.

넷플릭스가 2023년 11월, 1개의 계정을 공유해서 사용할 수 있던 서비스를 중단했습니다. 기존 사용자들은 아쉽지만, 별다른 선택지가 없었죠. 저도 마찬가지였습니다.

결국 개인적으로 결제해서 사용하거나, 추가 회원 등록을 통해 계정 공유를 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이 부분이 무슨 말인지 이해가 잘 안 가는 분들이 많으셨을 겁니다.

넷플릭스 홈페이지에 들어가도 뭔가 번역을 한 안내 같아서 이해하기가 쉽지 않죠. 뉴스 기사도 그렇고요. 그래서 제가 최대한 쉽게 정리해 봤습니다.



넷플릭스 계정 공유 방법

가족끼리 같이 살 때 넷플릭스 공유 방법

한 집에 같이 살고 있는 가족이라면 멤버십에 가입된 한 계정으로 공유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어떤 누구의 기기든 상관없이 보시면 됩니다. 넷플릭스가 집을 구분하는 기준은 계정이 로그인된 TV로 잡습니다.

즉, TV로 넷플릭스 보는 장소가 집이라고 인식합니다. 이 TV에 연결된 인터넷(와이파이)을 쓰는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으로 넷플릭스를 시청한다면 모두 그 집에 있는거로 봅니다.

만약 TV가 없다면 넷플릭스에서 종합적으로 판단합니다. 사용자가 어떤 기기를 주로 사용하는지, 사용하는 인터넷 주소(IP주소)가 무엇인지 확인합니다.


가족이 아니거나 따로 살 때 넷플릭스 공유 방법

가족이어도 따로 살고 있다면 예전처럼 멤버십에 가입된 계정 하나로 무료 공유할 수 없습니다. 이제는 계정 주인 추가 요금을 지급해야 공유할 수 있습니다.

월 5천 원을 내고 추가 회원 등록을 합니다. 이때 요금제에 따라 추가 회원 등록 가입 인원수가 다릅니다. 스탠다드 요금제 1명 추가 회원 등록 가능, 프리미엄 요금제 최대 2명 추가 회원 등록 가능.

  • 계정 주인이 추가 회원 자리를 결제합니다. (매월 5천원의 추가 요금이 발생합니다).

  • 계정 주인이 추가 회원으로 등록할 사람에게 초대 링크를 보냅니다.

  • 초대된 추가 회원은 본인의 이메일과 비밀번호를 로그인하면 됩니다. 그리고 새로운 개인 프로필을 갖게 됩니다.

뭔가 이상하죠? 결국 요금은 계정 주인이 결제해야 하기 때문에 추가 회원이 되고 싶으면 5천 원을 매달 송금해 줘야 합니다. 받기도 애매한 금액이고 서로 난감할 수 있죠.

이런 방법이 불편하거나 싫으신 분들은 그냥 개인 계정으로 멤버십 결제해서 보셔야 합니다. 서로 신경 안 쓰고 편하죠.

결론적으로 같이 살면 무료로 같이 보고, 따로 살면 추가 요금을 내고 보거나 각자 계정을 만들어서 봐야 합니다.


마무리하며

이전처럼 하나의 계정으로 공유하면 참 좋겠지만 기업으로선 언제까지 그럴 수 없겠죠. 결국 많은분이 각자의 계정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래도 통신사나 다른 업체에서 OTT 할인 서비스 혜택들을 주고 있는 이벤트가 있으니 찾아서 활용해 보시는 것도 방법입니다.

저도 넷플릭스 시청을 좋아하기 때문에 지금은 멤버십 계정 가입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각자의 만족도에 따라 기분 좋은 선택 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