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 전시 할인권 신청으로 티켓값 부담 덜어드립니다. 정부는 국민이 문화생활을 쉽고 편하게 즐길 수 있도록 할인권 210만 장을 배포하기로 했습니다. 이번 기회에 보고 싶었던 공연 전시를 저렴하게 즐길 수 있습니다. 꼭 챙겨가세요.
공연 전시 할인권이란
공연 전시 할인권은 국민이 문화생활을 다양하고 저렴하게 즐길 수 있게 도와주고, 지역 문화와 예술이 더 활발해지도록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공연 할인 1만 원권 : 50만 장, 전시 할인 3천 원권 : 160만 장인 총 210만 장을 선착순으로 배포합니다. 요즘 물가가 높아 문화생활을 하는 게 어려웠습니다.
저도 매번 고민하다 포기하곤 했었는데요. 이번 기회에 할인권을 받아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할인권 신청, 사용 기간
신청기간
- 2025년 8월 8일 (금) 오전 10시 ~ 9월 19일 (금) 오후 11시 59분까지 (약 6주간)
사용기간
- 발급 종료일인 2025년 9월 19일 (금)까지
- 11월 30일(일) 이내 관람 예정인 공연 전시에만 할인권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발급 종료일과 헷갈리시면 안 됩니다. 주의해 주세요.
할인권 신청 및 발급 방법
비수도권 할인권 2매 추가 발급 방법
비수도권의 경우 할인권 2매를 추가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비수도권 할인권은 타임티켓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비수도권 전용 할인권의 발급기준은 전시•공연장 주소지가 서울, 경기, 인천을 제외한 지역에서 열리는 공연•전시를 말합니다.
할인권 사용 방법 및 주의사항
- 결제 1건당 할인권 1매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공연이나 전시 티켓 2장을 사도 할인권은 1장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저도 예전에 이런 경우가 있었는데, 친구와 따로따로 결제해서 할인을 두번 받는 식으로 할 수 있으니 참고해 주세요. - ‘예매처별’ 2매까지 적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YES24에서 티켓을 구매할 때 2건을 결제한다면 최대 2장까지 할인권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예매처별’ 1인당 할인권 2매를 선착순으로 발급합니다.
따라서 5개 예매처에서 모두 발급받는다면 총 10개의 할인권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온라인 예매처에서 준비된 할인권이 모두 소진되면 발급이 종료됩니다.
- 미사용된 할인권은 10월에 추가로 배포할 예정입니다.
- 노쇼(No-Show) 등을 줄이기 위한 관객 최소 부담액 책정
노쇼란 공연 티켓을 예매해 놓고 보러오지 않는 경우를 말합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일정 금액 이상을 결제해야만 합니다.
공연은 총 결제금액 1만 5천 원, 전시는 총 결제금액 5천 원 이상일 때 할인권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노쇼로 예약된 자리가 비게 되면 누군가는 공연을 볼 수 있는 기회를 잃게 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공연 티켓 가격이 1만 원인 경우, 할인권을 적용했을 때 최종 결제 금액이 1만 5천 원이 되지 않는다면 할인권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할인 적용 대상
공연 분야
공연 분야 (할인되는 곳) | 공연 분야 (할인 안 되는 곳) |
뮤지컬 | 대중음악 |
연극 | 대중무용 |
한국음악(국악) | |
서양음악(클래식 | |
무용 | |
복합 |
전시 분야
전시 분야 (할인되는 곳) | 전시 분야 (할인 안 되는 곳) |
전국 국립 공립 미술관 | 산업 박람회 |
전국 사립 미술관 | |
다양한 전시공간에서 진행되는 시각예술분야 | |
아트페어 | |
비엔날레 |
마무리하며
저도 예전엔 공연 전시를 종종 보러 다녔습니다. 그때마다 적은 금액이라도 할인을 받을 수 있으면 기분 좋게 결제 했었죠.
특히 많은 가족을 데리고 간다면 부담을 덜을 수 있습니다. 조금이라도 아끼면 경제적으로 도움이 되니까요. 받을 수 있는 혜택은 받아서 더 다양한 체험을 즐기는 것도 좋은 선택인 것 같습니다.
모두 즐거운 문화생활 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